본문 바로가기
고흥역사인물

고흥의 역사적 인물(사환)

by 고흥을 찾아서 2013. 11. 4.

※ 출사자와 그 공적 상신(相臣), 문과(文科), 무과(武科) 등 출사자료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사환(仕宦)

성 명
본관
약 사 (略 史)
거주지
기진운(奇震運)
행주
영립(榮立)의 후손으로, 첨지사(僉知事)를 역임하였다.
 
김 근(金 瑾)
김녕
준(遵)의 아들로, 공조참의(工曹參議)를 역임하였다.
과역 가산
김원경(金元慶)
근(瑾)의 아들로,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참의(參議)를 역임하였다.

김구정(金九鼎)
구룡(九龍)의 아우로, 직장(直長) 침묘령(寢廟令)을 역임하였다.
점암 모동
김구린(金九麟)
구룡의 아우로,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를 역임하였다.
순천
김석주(金錫柱)
구룡의 아들로, 전주판관(全州判官)을 역임하였다.
고흥 과역
김철주(金鐵柱)
구룡의 아들로, 의정부좌찬성(議政府左贊成)을 역임하였다.
 
김경식(金敬軾)
구룡의 아들로,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을 역임하였다.
 
김 량(金 樑)
원수(元壽)의 아들로,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역임하였다.
남양 한동
김수욱(金秀頊)
김녕
원수의 아들로,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역임하였다. 광주 학동
김수호(金秀瑚)
철주(鐵柱)의 아들로, 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을 역임하였다. 낙안 성북
김하서(金夏瑞)
규(圭)의 아들로, 강진현감(康津縣監), 사복시정(司僕寺正)을 역임하였다. 풍양 풍남
김상걸(金商傑)
수욱(秀頊)의 아들로, 제용감첨정(濟用監僉正)을 역임하였다. 과역 가산
김은준(金殷俊)
수호(秀瑚)의 아들로, 통례원우통례(通禮院右通禮)를 역임하였다. 낙안 성북
김덕검(金德儉)
준(遵)의 6세손으로, 장단도호부사(長湍都護府使)를 역임하였다. 과역 석촌
김철손(金哲遜)
수완(秀玩)의 아들로, 옥구현감(沃溝縣監)을 역임하였다. 고흥 호형
김예륜(金曳倫)
창공(昌*)의 아들로, 용양위부호군(龍槐衛副護軍)을 역임하였다. 남양 장동
김태숙(金太淑)
준(遵)의 8세손으로, 벽당군수(碧潼郡守)를 역임하였다. 풍양 한동
김덕린(金德麟)
유흡(有洽)의 아들로, 전옥서주부(典獄署主簿)를 역임하였다. 과역 가산
김몽룡(金夢龍)
광협(光鋏)의 아들로, 현감을 역임하였다. 포두 중흥
김몽개(金夢凱)
광협의 아들로, 연일현감(延日縣監)을 역임하였다. 점암 용두
김몽표(金夢彪)
광협의 아들로, 사복시주부(司僕寺主簿)를 역임하였다.
김천일(金千鎰)
언량(彦良)의 아들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과역 가산
김방제(金邦濟)
준(俊)의 후손으로, 만호(萬戶)를 역임하였다. 순천 매곡
김영달(金英達)
언공(彦恭)의 아들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과역 가산
김희달(金希達)
김녕
수욱(秀頊)의 증손으로, 훈련원부장(訓鍊院部將)을 역임하였다. 두원 풍류
김흥룡(金興龍)
유남(有男)의 아들로, 선략장군용양위부사과(宣略將軍龍槐衛副司果)를 역임하였다. 남양
김필남(金弼男)
예륜(曳倫)의 아들로, 승정원좌부승지(承政院左副承旨)를 역임하였다.
김수지(金守智)
구정(九鼎)의 증손으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포두 세동
김경신(金景信)
방제(邦濟)의 아들로, 진도군수(珍島郡守)를 역임하였다. 순천 매곡
김원효(金元孝)
여효(汝孝)의 아우로, 삼수군수(三水郡守)를 역임하였다. 풍양 한동
김명룡(金鳴龍)
필남(弼男)의 아들로, 훈련원부정(訓鍊院副正)을 역임하였다. 남양
김창하(金昌夏)
세장(世章)의 아들로, 절충장군용양위부호군(折衝將軍龍槐衛副護軍)을 역임하였다.  
김성욱(金成旭)
충민공(忠愍公) 인찬(仁贊)의 후손으로, 용양위부호군을 역임하였다. 점암 화계
김언세(金彦世)
준(遵)의 후손으로, 사복시정(司僕寺正)을 역임하였다. 고흥 등암
김중일(金重一)
준영(俊榮)의 후손으로,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역임하였다. 두원 관덕
김여빈(金礪彬)
준(遵)의 후손으로, 전주판관(全州判官)을 역임하였다.  
김이헌(金以憲)
문기(文起)의 후손으로, 부사과(副司果)를 역임하였다. 풍양 율치
김만일(金萬一)
준영(俊榮)의 증손으로, 부사과(副司果)를 역임하였다. 두원 관덕
김치운(金致雲)
언세(彦世)의 손자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고흥 등암
김세명(金世鳴)
김녕
효원(孝源)의 아들로, 첨사(僉使)를 역임하였다.  
김득일(金得鎰)
응국(應國)의 아들로, 사복시정(司僕寺正)을 역임하였다.  
김사상(金泗祥)
준(遵)의 후손으로, 진도군수를 역임하였다.  
김인형(金仁亨)
유남(有男)의 손자로, 첨사(僉使)를 역임하였다.  
김구삼(金九三)
준의 후손으로, 부호군(副護軍), 절도사(節度使)를 역임하였다.  
김시엽(金時曄)
사상(泗祥)의 아들로, 예조좌량(禮曹佐郞)을 역임하였다.  
김만기(金萬琪)
종엽(宗燁)의 손자로, 용양위부호군(龍槐衛副護軍)을 역임하였다. 과역 가산
김류함(金類涵)
응국의 5대손으로, 첨중추(僉中樞)를 역임하였다. 풍양
김명순(金鳴順)
준(遵)의 후손으로, 낙안군수(樂安郡守)를 역임하였다. 풍양 풍남
김유습(金有濕)
준의 후손으로, 용양위부호군(龍槐衛副護軍)을 역임하였다. 과역 가산
김응후(金應*)
구정(九鼎)의 후손으로, 절충장군(折衝將軍)을 역임하였다.  
김상현(金尙鉉)
준의 후손으로, 곡성현감겸병마절제도위(谷城縣監兼兵馬節制都尉)를 역임하였다. 고흥 점암
김기돈(金基敦)
원식(源植)의 아들로, 용양위부사과(龍槐衛副司果)를 역임하였다.  
김재삼(金載三)
준영(俊榮)의 아들로, 용양위부사과(龍槐衛副司果)를 역임하였다. 두원 관덕
김수감(金秀*)
석주(錫柱)의 아들로, 군자감정(軍資監正)을 역임하였다.  
김수완(金秀玩)
준(遵)의 후손으로, 도호부사(都護府使)를 역임하였다. 과역 석촌
김유협(金有浹)
은준(殷俊)의 아들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낙안 성북
김광인(金光仁)
김녕
규(圭)의 손자로, 부사(府使)를 역임하였다. 상사 용산
김경인(金慶仁)
준(遵)의 후손으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김중명(金重鳴)
준(遵)의 후손으로, 찰방(察訪)을 역임하였다.  
김세필(金世弼)
김해
방려의 후손으로, 좌수사(左水使)를 역임하였다.  
김 관(金 瓘)
세필의 손자로, 찰방(察訪)을 역임하였다.  
김사형(金泗亨)
관의 손자로, 첨사(僉使), 선전관(宣傳官)을 역임하였다.  
김용남(金龍南)
방려의 후손으로, 제주통판(濟州通判)을 역임하였다.  
김응인(金應仁)
한성부(漢城府) 좌윤(左尹)을 역임하였다.  
김두남(金斗南)
붕만(鵬萬)의 손자로,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역임하였다. 두원 예회
김덕서(金德瑞)
용남(龍南)의 손자로,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홍문관수찬교리(弘文館修撰校理)를 역임하였다.  
김상휘(金尙輝)
사일(泗溢)의 증손으로, 찰방(察訪)을 역임하였다.  
김상순(金尙洵)
방려(方礪)의 후손으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김홍영(金弘永)
혼(渾)의 후손으로, 감찰(監察)을 역임하였다.  
김용현(金容玄)
현치(炫致)의 손자로,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하였다.  
김용규(金容圭)
일손(馹孫)의 후손으로, 감찰(監察)을 역임하였다.  
김대식(金大植)
저(著)의 후손으로, 감찰(監察)을 역임하였다.  
김용태(金鏞泰)
청제(淸濟) 선(宣)의 후손으로, 돌산군수(突山郡守)를 역임하였다.  
김창수(金昌洙)
방려(方礪)의 후손으로, 사과(司果)를 역임하였다.  
김정태(金禎泰)
석하(錫河)의 아들로, 영광·순천군수(靈光·順天郡守)를 역임하였다. 고흥 옥하
김의조(金毅祚)
세기(世器)의 후손으로, 사과(司果)를 역임하였다.  
김윤상(金胤祥)
진희(晉熙)의 아들로, 사복시정(司僕寺正)를 역임하였다.  
김능천(金能天)
경주
도보(道輔)의 아들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김위성(金緯星)
순원(舜元)의 아들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두원 대덕
김윤삼(金潤三)
정필(正必)의 아들로, 첨정(僉正)을 역임하였다.  
김성두(金成斗)
화균(禾*)의 아들로, 녹도진만호(鹿島鎭萬戶)를 역임하였다.  
김중남(金重南)
광산
약시(若時)의 후손으로, 현감(縣監)을 역임하였다.  
김석후(金錫候)
모(帽)의 아들로, 흥양현감(興陽縣監)을 역임하였다.  
김흥엽(金興燁)
안동
성견(性堅)의 5세손으로, 첨사(僉使)를 역임하였다.  
남종표(南宗標)
의령
재의 후손으로, 흥양현감(興陽縣監)을 역임하였다.  
남이형(南履炯)
재의 후손으로, 흥양현감(興陽縣監)을 역임하였다.  
류 균(柳 均)
고흥
청신(淸臣)의 아들로, 대호군(大護軍)을 역임하였다.  
류유기(柳有奇)
청신(淸臣)의 아들로,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를 역임하였다.  
류 지(柳 漬)
습(濕)의 아들로, 숭의교위사정(崇義校尉司正)을 역임하였다.  
류 파(柳 坡)
고흥
탁(濯)의 증손으로, 녹도만호(鹿島萬戶), 어모장군(禦侮將軍)을 역임하였다.  
류호택(柳好澤)
지(漬)의 아들로, 교위부사정(校尉副司正)을 역임하였다.  
류복개(柳復開)
균(均)의 현손으로, 현감(縣監)을 역임하였다.  
류 주(柳 澍)
승정원좌승지(承政院左承旨)를 역임하였다.  
류 문(柳 汶)
호택(好澤)의 아들로, 종부시주부(宗簿寺主簿)를 역임하였다.  
류충례(柳忠禮)
문(汶)의 아들로, 거제현감(巨濟縣監)을 역임하였다.  
류경상(柳慶祥)
연이(淵二)의 아들로, 부장(部將)을 역임하였다.  
류 기(柳 淇)
문(汶)의 손자로,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를 역임하였다. 과역 가산
류 일(柳 溢)
충신(忠信)의 아들로, 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을 역임하였다.  
류 용(柳 溶)
충신의 아들로, 영산현감(靈山縣監)을 역임하였다.  
류 위(柳 渭)
문(汶)의 손자로, 거제현감(巨濟縣監)을 역임하였다.  
류 수(柳 洙)
충서의 아들로, 군자감주부(軍資監主簿)를 역임하였다.  
류 연(柳 淵)
자성(自誠)의 손자로, 녹도만호(鹿島萬戶)를 역임하였다.  
류경원(柳敬元)
척(滌)의 아들로, 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을 역임하였다.  
류경장(柳敬長)
경원(敬元)의 아우로, 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을 역임하였다.  
류득남(柳得南)
기(淇)의 아들로, 회령판관(會寧判官)을 역임하였다.  
류복룡(柳福龍)
순(淳)의 아들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류우룡(柳遇龍)
고흥
순의 아들로,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역임하였다.  
류시영(柳時榮)
희룡(希龍)의 아들로,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하였다.  
류경룡(柳慶龍)
억상(億祥)의 손자로,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역임하였다.  
류 호(柳 濠)
영룡(瀛龍)의 아들로, 월송진만호(越松鎭萬戶)에 부임하였다.  
류 옥(柳 沃)
복룡(福龍)의 아들로, 양지현감(陽智縣監)을 역임하였다.  
류 하(柳 河)
우룡(遇龍)의 아들로, 충무위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역임하였다.  
류우신(柳雨新)
경룡(慶龍)의 손자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류중기(柳重起)
시빈(時彬)의 아들로, 첨사(僉使)를 역임하였다.  
류동기(柳東起)
하(河)의 아들로, 부령도호부사(富寧都護府使)를 역임하였다.  
류 유(柳 濡)
승룡(昇龍)의 아들로, 부사과(副司果)를 역임하였다.  
류승림(柳承霖)
억상(億祥)의 손자로, 전옥서주부(典獄暑主簿)를 역임하였다.  
류규호(柳奎浩)
덕형(德亨)의 현손으로,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을 역임하였다.  
류 황(柳 璜)
덕형의 현손으로, 오위장(五衛將)을 역임하였다.  
류기환(柳棋煥)
척(滌)의 후손으로, 선공감부정(繕工監副正)을 역임하였다.  
류준승(柳準承)
세진(世鎭)의 아들로. 선공감부정(繕工監副正)을 역임하였다.  
노대방(盧大邦)
광산
한경(漢經)의 현손으로, 선전관(宣傳官)을 역임하였다.  
노경립(盧景立)
윤발(潤發)의 아들로, 옥포만호(玉浦萬戶)를역임하였다.  
노정룡(盧廷龍)
광산
자형(自亨)의 현손으로, 도총경력(都總經歷)을 역임하였다.  
목하경(睦夏敬)
사천
중희(重熙)의 아들로, 절충장군(折衝將軍)을 역임하였다.  
문만우(文萬佑)
남평
익점(益漸)의 후손으로, 첨정(僉正)을 역임하였다.  
박겸형(朴謙亨)
진원
광전(光前)의 후손으로, 의금부사(義禁府使)를 역임하였다.  
박유번(朴由蕃)
밀양
대손(大孫)의 후손으로, 전주판관(全州判官)을 역임하였다.  
박문원(朴*元)
현(鉉)의 후손으로, 호조참의(戶曹參議)를 역임하였다.  
박맹동(朴孟同)
납생(納生)의 후손으로, 칠원현감(漆原縣監)을 역임하였다.  
박중동(朴仲同)
탈(*)의 아들로, 병조참판(兵曹參判)을 역임하였다.  
박득현(朴得賢)
문원(*元)의 후손으로, 아산현감(牙山縣監)을 역임하였다.  
박성현(朴成賢)
문원의 후손으로, 부호군첨사(副護軍僉使)를 역임하였다.  
박희성(朴希聖)
건(楗)의 후손으로, 웅천현감(熊川縣監)을 역임하였다.  
박이형(朴而亨)
문원(*元)의 후손으로, 부호군(副護軍)을 역임하였다.  
박이문(朴而文)
문원(*元)의 후손으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박춘화(朴春華)
유산(惟山)의 아들로, 의주부윤(義州府尹)을 역임하였다.  
박이완(朴而玩)
문원(*元)의 후손으로, 좌부장(左部將)을 역임하였다.  
박응신(朴應愼)
명동(命同)의 증손으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박경모(朴敬模)
은춘(殷春)의 후손으로, 개운포만호(開雲浦萬戶)를 역임하였다.  
박춘화(朴春華)
밀양
중손(仲孫)의 아들로, 만호(萬戶)를 역임하였다.  
박유원(朴由元)
창원
동지(東智)의 후손으로, 이조참판(吏曹參判)을 역임하였다.  
박유정(朴由貞)
동지의 아들로, 호조참의(戶曹參議)를 역임하였다.  
박유창(朴由昌)
동지의 아들로, 좌승지(左承旨)를 역임하였다.  
박태수(朴泰首)
유원(由元)의 아들로, 부호군동중추(副護軍同中樞)를 역임하였다.  
박언석(朴彦碩)
유원(由元)의 손자로, 대사헌(大司憲)을 역임하였다.  
박대근(朴大根)
세인(世仁)의 아들로, 훈련원부정(訓鍊院副正)을 역임하였다.  
박대련(朴大連)
세인의 아들로,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역임하였다.  
박만근(朴萬根)
언석(彦碩)의 아들로, 무안현감을 역임하였다.  
박응수(朴應秀)
세인의 아들로, 좌랑(佐郞)을 역임하였다.  
박지련(朴枝連)
만근(萬根)의 아들로, 대구판관(大邱判官)을 역임하였다.  
박정엽(朴正燁)
홍세(弘世)의 아들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박홍기(朴弘器)
지련(枝連)의 아들로,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역임하였다.  
박 경(朴 璟)
홍기(弘器)의 아들로, 부제학(副提學)을 역임하였다.  
박충남(朴忠男)
태수(*壽)의 아들로, 평안도순무사(平安道巡撫使)를 역임하였다.  
박성엽(朴成燁)
홍세(弘世)의 아들로, 진도군수(珍島郡守)를 역임하였다.  
박응진(朴應珍)
수원(秀元)의 아들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박 황(朴 惶)
의엽(宜燁)의 아들로, 찰방(察訪)을 역임하였다.  
박 선(朴 昐)
창원
정엽(正燁)의 아들로, 군자감주부(軍資監主簿)를 역임하였다.  
박진욱(朴震郁
선(昐)의 아들로, 부호군(副護軍)을 역임하였다.  
박사문(朴師文)
동지(東智)의 후손으로, 승문원판교겸대사간(承文院判校兼大司諫)을 역임하였다  
박만엽(朴萬葉)
대근(大根)의 5세손으로, 훈련원부정(訓鍊院副正)을 역임하였다.  
박교진(朴敎鎭)
응수(應秀)의 후손으로, 진해현감(鎭海縣監)을 역임하였다.  
배신공(裵信恭)
성산
기형(己亨)의 아들로, 가산군수(嘉山郡守)를 역임하였다.  
배문관(裵文寬)
흥립(興立)의 손자로,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하였다.  
배덕홍(裵德弘)
기형(己亨)의 손자로, 군자감주부(軍資監主簿)를 역임하였다.  
배정우(裵廷祐)
흥립(興立)의 현손으로, 장악원정(掌樂院正)을 역임하였다.  
배시망(裵時望)
윤손(允遜)의 후손으로,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역임하였다.  
조인순(趙仁淳)
함안
승한(承閑)의 후손으로, 부사과(副司果)를 역임하였다.  
조응규(趙應奎)
고(孤)의 후손으로, 부사과(副司果)를 역임하였다.  
백낙하(白樂夏)
수원
송계광성(松溪光城)의 후손으로, 동중추겸오위장(同中樞兼五衛將)을 역임하였다.  
서명관(徐命觀)
달성
침(沈)의 후손으로, 찰방(察訪)을 역임하였다.  
설진표(薛鎭杓)
순창
구발(玖拔)의 아들로, 절충장군부호군(折衝將軍副護軍)을 역임하였다.  
설경수(薛慶洙)
진표(鎭杓)의 아들로. 부사과(副司果)를 역임하였다.  
설우환(薛祐煥)
경수(慶洙)의 아들로, 훈련원정(訓鍊院正)을 역임하였다.  
설동원(薛東元)
순창
현수(炫洙)의 아들로, 사복시정(司僕寺正)을 역임하였다.  
설재홍(薛在洪)
윤환(允煥)의 아들로, 공조참판(工曹參判)을 역임하였다.  
성대건(成大乾)
창녕
판사(判事)를 역임하였다.  
송사안(宋思安)
여산
간(侃)의 손자로, 경원도호부사(慶源都護府使)를 역임하였다.  
송사평(宋思平)
중유(仲儒)의 아들로, 통례원상례(通禮院相禮)를 역임하였다.  
송사원(宋思元)
간(侃)의 손자로, 단성현감(丹城縣監)을 역임하였다.  
송사문(宋思文)
간의 손자로, 현감을 역임하였다.  
송유정(宋有貞)
사안(思安)의 아들로, 부산진첨사(釜山鎭僉使)를 역임하였다.  
송예정(宋禮貞)
간의 증손으로, 현감(縣監)을 역임하였다.  
송옥형(宋玉衡)
유정(有貞)의 아들로, 옥구(沃溝)·광양현감(光陽縣監)을 역임하였다.  
송권형(宋權衡)
의정(義貞)의 아들로, 당포만호(唐浦萬戶)를 역임하였다.  
송옥손(宋玉孫)
사평(思平)의 아들로, 사정(司正)을 역임하였다.  
송흥룡(宋興龍)
곤강(昆岡)의 아들로, 울진만호(蔚津萬戶)를 역임하였다.  
송수형(宋粹衡)
의정(義貞)의 아들로, 만호(萬戶)를 역임하였다.  
송보형(宋保衡)
예정(禮貞)의 아들로, 어모장군(禦侮將軍)을 역임하였다.  
송지형(宋持衡)
예정(禮貞)의 아들로, 현령(縣令)을 역임하였다.  
송시형(宋時衡)
예정(禮貞)의 아들로, 봉상시첨정(奉常寺僉正)을 역임하였다.  
송순의(宋純義)
옥손(玉孫)의 아들로, 현감(縣監)을 역임하였다.  
송익린(宋益璘)
여산
희손(熙孫)의 아들로, 좌부장(左部將)을 역임하였다.  
송필형(宋弼衡)
예정(禮貞)의 아들로.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병마도위(兵馬都尉)를 역임하였다.  
송우상(宋宇祥)
순례(純禮)의 아들로, 찰방(察訪)을 역임하였다.  
송주상(宋宙祥)
우상(宇祥)의 아우로, 찰방(察訪)을 역임하였다.  
송안형(宋安衡)
호(豪)의 아들로, 남원군수(南原郡守)를 역임하였다.  
송익형(宋益衡)
안형(安衡)의 아우로, 낙안군수(樂安郡守)를 역임하였다.  
송 관(宋 寬)
옥형(玉衡)의 아들로, 광양현감(光陽縣監)을 역임하였다.  
송지인(宋之仁)
간(侃)의 현손으로, 제주판관(濟州判官), 병마절제도위(兵馬節制都尉)를 역임하였다.  
송 경(宋 逕)
예정(禮貞)의 손자로, 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을 역임하였다.  
송 괄(宋 适)
예정(禮貞)의 손자로, 첨정(僉正)을 역임하였다.  
송 적(宋 迪)
예정(禮貞)의 손자로,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역임하였다.  
송 해(宋 邂)
예정(禮貞)의 손자로, 첨정(僉正)을 역임하였다.  
송 석(宋 碩)
익린(益璘)의 아들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송 섬(宋 暹)
안현의 아들로,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하였다.  
송 정(宋 珽)
희손(熙孫)의 손자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송의달(宋義達)
오서(五瑞)의 아들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송상후(宋商後)
대수(大壽)의 아들로. 첨정(僉正)을 역임하였다.  
송 확(宋 確)
익린(益璘)의 아들로, 첨정(僉正)을 역임하였다.  
송태억(宋太億)
여산
간(侃)의 5세손으로, 고산현감(高山縣監)을 역임하였다.  
송홍부(宋弘溥)
응기(應璣)의 아들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송홍원(宋弘源)
천상(天祥)의 아들로,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역임하였다.  
송홍장(宋弘障)
천상의 아들로,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역임하였다.  
송 득(宋 得)
분삼(芬三)의 아들로, 옥구만호(沃溝萬戶)를 역임하였다.  
송계주(宋繼周)
중유(仲儒)의 증손으로, 만호(萬戶)를 역임하였다.  
송상신(宋商信)
확(確)의 아들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송상충(宋商忠)
석(碩)의 아들로, 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을 역임하였다.  
송의선(宋義善)
오서(五瑞)의 아들로, 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을 역임하였다.  
송 겸(宋 謙)
대립(大立)의 아들로, 함안군수(咸安郡守), 황주판관(黃州判官)을 역임하였다.  
송 수(宋 穗)
희립(希立)의 아들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송상립(宋商立)
간의 후손으로,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역임하였다.  
송시현(宋時賢)
홍장(弘瀁)의 아들로. 사과(司果)를 역임하였다.  
송 격(宋 格)
득운(得運)의 아들로, 예빈시주부(禮賓寺主簿)를 역임하였다.  
송정기(宋廷麒)
괄(适)의 아들로, 현감(縣監)을 역임하였다.  
송시필(宋時弼)
홍장(弘瀁)의 아들로, 성천부사(成川府使)를 역임하였다.  
송문룡(宋文龍)
오서(五瑞)의 손자로, 찰방(察訪)을 역임하였다.  
송무룡(宋武龍)
오서의 손자로, 예빈시첨정(禮賓寺僉正)을 역임하였다.  
송득시(宋得時)
여산
오서(五瑞)의 손자로, 군기시주부(軍器寺主簿)를 역임하였다.  
송 량(宋 諒)
정립(廷立)의 아들로.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역임하였다.  
송 담(宋 譚)
정립의 아들로. 제주판관(濟州判官)을 역임하였다.  
송 경(宋 *)
상신(尙信)의 아들로, 군자감정(軍資監正)을 역임하였다.  
송수남(宋壽男)
백유(伯儒)의 5세손으로, 절충장군(折衝將軍), 첨사(僉使)를 역임하였다.  
송춘세(宋春世)
두남(斗南)의 아들로, 훈련원부장(訓鍊院部將)을 역임하였다.  
송시민(宋時民)
홍장(弘瀁)의 아들로. 판관(判官)을 역임하였다.  
송지원(宋之元)
후립(後立)의 아들로, 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을 역임하였다.  
송문필(宋文弼)
세발(世潑)의 손자로, 부호군(副護軍)을 역임하였다.  
송문우(宋文祐)
심(諶)의 아들로, 선략장군(宣略將軍)을 역임하였다.  
송지문(宋之文)
후립(後立)의 아들로, 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을 역임하였다.  
송의현(宋義顯)
의정(義廷)의 후손으로, 절충장군(折衝將軍)을 역임하였다.  
송필흥(宋必興)
홍원(弘源)의 손자로, 관진병마첨절제사(串鎭兵馬僉節制使)를 역임하였다.  
송석기(宋碩基)
홍운(弘運)의 손자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송유지(宋惟智)
흥룡(興龍)의 아들로, 군수(郡守)를 역임하였다.  
송필원(宋必遠)
필흥(弼興)의 아우로,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역임하였다.  
송명천(宋命天)
중유(仲儒)의 8세손으로, 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을 역임하였다.  
송양하(宋樑夏)
득운(得運)의 증손으로, 가리포첨사(加里浦僉使)를 역임하였다.  
송시정(宋時程)
여산
태억(太億)의 증손으로, 이조정랑(吏曹正郞)을 역임하였다.  
송익상(宋益商)
응상(應商)의 손자로, 훈련원정(訓鍊院正)을 역임하였다.  
송광조(宋光祚)
의현(義顯)의 아들로, 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을 역임하였다.  
송덕주(宋德周)
태억(太億)의 현손으로, 이조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하였다.  
송운룡(宋雲龍)
간(侃)의 후손으로, 부호군(副護軍)을 역임하였다.  
송 헌(宋 櫶)
시현(時賢)의 아들로, 찰방(察訪)을 역임하였다.  
송윤환(宋允煥)
득운(得運)의 6세손으로, 비변장(備邊將)을 역임하였다.  
송정보(宋廷輔)
회(*)의 아들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송덕계(宋德啓)
경(逕)의 후손으로, 감찰(監察)을 역임하였다.  
송인서(宋璘瑞)
득운(得運)의 7세손으로, 가덕진첨사(加德鎭僉使)를 역임하였다.  
송대호(宋大浩)
득운(得運)의 8세손으로, 오위장(五衛將), 첨중추(僉中樞)를 역임하였다.  
송달호(宋達浩)
태억(太億)의 9세손으로, 호조참의(戶曹參議)를 역임하였다.  
송신호(宋臣浩)
태억(太億)의 9세손으로, 이조참의(吏曹參議)를 역임하였다.  
송세호(宋世浩)
계유(季儒)의 후손으로, 첨중추겸오위장(僉中樞兼五衛將)을 역임하였다.  
송의호(宋義浩)
내계(來啓)의 후손으로, 판관(判官)을 역임하였다.  
송병섭(宋秉燮)
명규(明奎)의 후손으로, 사과(司果)를 역임하였다.  
송진석(宋鎭錫)
찬문(粲文)의 5세손으로, 병조정랑(兵曹正郞)을 역임하였다.  
송 련(宋 鍊)
숙(琡)의 후손으로, 감찰(監察)을 역임하였다.  
송주태(宋柱泰)
여산
민호(旻浩)의 아들로, 오위장(五衛將)을 역임하였다.  
송주명(宋柱明)
순례(純禮)의 후손으로, 사과(司果)를 역임하였다.  
송주환(宋柱桓)
적(迪)의 후손으로, 사과(司果)를 역임하였다.  
송재윤(宋載允)
산(珊)의 후손으로,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하였다.  
송철호(宋哲浩)
진길(鎭吉)의 아들로,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을 역임하였다.  
송주달(宋柱達)
숙(琡)의 후손으로,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하였다.  
송주유(宋柱裕)
태억(太億)의 후손으로, 부호군(副護軍)을 역임하였다.  
송주언(宋柱彦)
내계(來啓)의 후손으로. 부사과(副司果)를 역임하였다.  
송주찬(宋柱贊)
정갑(廷甲)의 5세손으로,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하였다.  
송주성(宋柱星)
순례의 후손으로, 진도군수(珍島郡守)를 역임하였다.  
송주철(宋柱轍)
두규(斗奎)의 후손으로, 사과(司果)를 역임하였다.  
송주인(宋柱仁)
태억(太億)의 후손으로, 훈련도정(訓鍊都正)을 역임하였다.  
송주신(宋柱信)
명규(明奎)의 후손으로, 사과(司果)를 역임하였다.  
송주희(宋柱禧)
사권(思權)의 후손으로,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하였다.  
송주학(宋柱學)
철호(哲浩)의 아들로,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을 역임하였다.  
송주용(宋柱鏞)
진하(鎭夏)의 손자로,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을 역임하였다.  
송세충(宋世忠)
남양
인(寅)의 후손으로,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하였다.  
송 보(宋 輔)
세충(世忠)의 아들로, 진위현령(振威縣令)을 역임하였다.  
송희상(宋希庠)
남양
인(寅)의 후손으로, 사재감정(司宰監正)을 역임하였다.  
송 거(宋 巨)
인의 후손으로. 강진현감(康津縣監)을 역임하였다.  
송응상(宋應祥)
보(輔)의 아들로, 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을 역임하였다.  
송 인(宋 仁)
승주(承周)의 아들로, 내금위장(內禁衛將)을 역임하였다.  
송 의(宋 義)
 
송유희(宋裕喜)
기(琦)의 아들로, 판관(判官)을 역임하였다.  
송 례(宋 禮)
승주의 아들로, 사도첨사(蛇渡僉使)를 역임하였다.  
송덕기(宋德驥)
덕일(德馹)의 아우로, 판관(判官)을 역임하였다.  
송덕화(宋德*)
덕일의 아우로, 만호(萬戶)를 역임하였다.  
송덕준(宋德駿)
남양
제(悌)의 아들로, 판관(判官)을 역임하였다.  
송 기(宋 琦)
인(寅)의 후손으로, 부사과(副司果)를 역임하였다.  
송장길(宋長吉)
구(球)의 아들로, 용양위부호군(龍槐衛副護軍)을 역임하였다.  
송인신(宋仁信)
덕준(德駿)의 종제로, 제주판관(濟州判官)을 역임하였다.  
송위남(宋緯南)
덕준의 아들로, 훈련원부정(訓鍊院副正)을 역임하였다.  
송세빈(宋世彬)
염(恬)의 중손으로. 용양위부호군(龍槐衛副護軍)을 역임하였다.  
송 삼(宋 蔘)
장길(長吉)의 아들로, 첨중추(僉中樞)를 역임하였다.  
송후경(宋後璟)
덕일의 손자로. 훈련원부정(訓鍊院副正)을 역임하였다.  
송 순(宋 恂)
여산
태필(兌弼)의 아우로, 사과(司果)를 역임하였다.  
송영찬(宋永贊)
남양
결(*)의 후손으로. 선전관(宣傳官)을 역임하였다.  
송시한(宋時漢)
섭(涉)의 후손으로, 사과(司果)를 역임하였다.  
송시호(宋時鎬)
광엽(光燁)의 아들로, 도정(都正)을 역임하였다.  
송시복(宋時福)
문엽(文燁)의 아들로, 용양위부호군(龍槐衛副護軍)을 역임하였다.  
신 석(申 碩)
고령
자왕(子枉)의 아들로, 장성부사(長城府使)를 역임하였다.  
신명원(申明遠)
붕(鵬)의 아들로, 만호(萬戶)를 역임하였다.  
신명달(申明達)
붕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역임하였다.  
신명후(申明逅)
명원(明遠)의 아우로, 훈련원부정(訓鍊院副正)을 역임하였다.  
신용해(申容海)
명원의 아들로,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를 역임하였다.  
신홍해(申弘海)
용해(容海)의 아우로, 현감(縣監)을 역임하였다.  
신수재(申秀材)
궁건(宮楗)의 아들로, 현감(縣監)을 역임하였다.  
신광해(申光海)
명달(明達)의 아들로,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역임하였다.  
신여식(申汝*)
광해(光海)의 아들로, 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을 역임하였다.  
신여국(申汝堰)
명후(明逅)의 손자로. 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을 역임하였다.  
신홍일(申弘馹)
군안(君安)의 아들로, 덕포첨사(德浦府使)를 역임하였다.  
신덕윤(申德潤)
여정(汝楨)의 아들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신홍수(申弘壽)
서용(瑞容)의 아들로, 훈련원정(訓鍊院正)을 역임하였다.  
신 전(申 *)
여식(汝*)의 아들로, 찰방(察訪)을 역임하였다.  
신현구(申賢求)
고령
석(碩)의 13세손으로, 자헌대부대사헌겸동지의금부사(資憲大夫大司憲兼同知義禁府事)를 역임하였다.  
신동철(申東哲)
홍일(洪馹)의 아들로,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역임하였다.  
신 력(申 *)
덕엄(德淹)의 아들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신 익(申 익)
영해(榮海)의 증손으로,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역임하였다.  
신한강(申漢叩)
홍일(弘馹)의 손자로, 난포만호(蘭浦萬戶)를 역임하였다.  
신상형(申尙亨)
전(*)의 아들로,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역임하였다.  
신상강(申尙綱)
홍일의 손자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신명오(申命五)
한창(漢昌)의 후손으로, 판관(判官)을 역임하였다.  
신직모(申直模)
명섭(命涉)의 현손으로, 대사간(大司諫), 승지(承旨)를 역임하였다.  
신인구(申*求)
군안(君安)의 후손으로,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을 역임하였다.  
신경무(申景武)
두권(斗權)의 아들로. 오위장(五衛將)을 역임하였다.  
신영걸(申英傑)
익종(益宗)의 아들로, 흥양현감(興陽縣監)을 역임하였다.  
신성모(申誠模)
원요(遠遼)의 후손으로,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을 역임하였다.  
신규모(申奎模)
여정(汝楨)의 후손으로, 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을 역임하였다.  
신우구(申瑀求)
산원(汕遠)의 8세손으로,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을 역임하였다.  
신상우(申相雨)
준극(俊克)의 후손으로, 사과(司果)를 역임하였다.  
신제운(申霽雲)
세우(世禹)의 아들로, 첨정(僉正)을 역임하였다.  
신헌모(申獻模)
경무(景武)의 아들로, 만호(萬戶)를 역임하였다.  
오거선(吳巨仙)
동복
잠(潛)의 6세손으로, 홍원현감(洪原縣監)을 역임하였다.  
오 전(吳 詮)
윤민(胤閔)의 아들로, 삼도해운판관(三道海運判官)을 역임하였다.  
오상홍(吳相洪)
보성
정기(正基)의 손자로,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을 역임하였다.  
오광손(吳廣孫)
흥양
익창(益昌)의 아들로, 공조좌랑(工曹佐郞)을 역임하였다.  
오석경(吳碩敬)
순손(順孫)의 아들로, 산음현감(山陰縣監)을 역임하였다.  
오숙문(吳淑文)
순손의 손자로, 충주목사(忠州牧使)를 역임하였다.  
오국량(吳國良)
승지 충필(忠弼)의 아들로, 영해부사(寧海府使)를 역임하였다.  
오대남(吳大男)
복량(福良)의 아들로, 고원군수, 경상좌도수군절도사(慶尙左道水軍節制使), 성천부사(成川府使)를 역임하였다.  
우태열(禹泰說)
단양
탁(倬)의 후손으로, 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을 역임하였다.  
우흥언(禹興言)
봉열(奉說)의 종질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유 진(兪 鎭)
기계
승계(承桂)의 아들로, 홍문관부제학(弘文館副提學)을 역임하였다.  
위덕남(魏德男)
장흥
훈(勳)의 아들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윤 단(尹 檀)
칠원
자량(子良)의 후손으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윤 붕(尹 鵬)
자량의 후손으로, 흥양현감(興陽縣監)을 역임하였다.  
윤영남(尹英男)
자량의 후손으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이 길(李 吉)
흥양
후(厚)의 아들로, 판전리사(判典理司), 흥양군에 봉하였다.  
이서원(李舒原)
길(吉)의 아들로, 찬성사(贊成事)를 역임하였다,  
이 균(李 均)
서원(舒原)의 아들로, 소윤직제학(小尹直提學)을 역임하였다.  
이 도(李 堵)
흥양
균(均)의 아우로, 삼사좌윤(三司左尹)을 역임하였다.  
이 치(李 峙)
도(堵)의 아우로, 부사(府使)를 역임하였다.  
이 은(李 垠)
치(峙)의 아우로, 출척사(黜陟使)를 역임하였다.  
이지증(李之證)
수생(壽生)의 아들로,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을 역임하였다.  
이 총(李 *)
서원(舒原)의 후손으로, 황해도장시도사(黃海道掌試都事)를 역임하였다.  
이맹무(李孟茂)
수생(壽生)의 후손으로, 서흥부사(瑞興府使)를 역임하였다.  
이 몽(李 蒙)
언(堰)의 후손으로.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하였다.  
이세훈(李世薰)
맹무(孟茂)의 손자로, 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을 역임하였다.  
이희건(李希騫)
희안(希顔)의 아우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이 탄(李 坦)
지방(芝芳)의 아들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이계훈(李繼勳)
의증(義證)의 후손으로, 통정호의(通政戶議)를 역임하였다.  
이인천(李仁天)
세무(世茂)의 아들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이재현(李在賢)
전주
후생(厚生)의 후손으로, 용양위부사과(龍槐衛副司果)를 역임하였다.  
이규형(李圭馨)
선생(善生)의 후손으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역임하였다.  
이기영(李基永)
후생의 후손으로, 진도만호(珍島萬戶)를 역임하였다.  
이정필(李廷弼)
경주
핵(*)의 후손으로, 좌승지(左承旨)를 역임하였다.  
이상하(李尙夏)
방직(邦稷)의 손자로, 익위사위(翊衛司衛)를 역임하였다.  
이경우(李景雨)
익곤(益坤)의 후손으로, 사과(司果)를 역임하였다.  
성 명
본관
약 사 (略 史) 거주지
이 장(李 樟)
경주
방직(邦稷)의 아들로, 직장(直長)을 역임하였다.  
이복신(李復臣)
성주
직(稷)의 후손으로, 사과(司果)를 역임하였다.  
이복의(李復義)
정녕(正寧)의 7세손으로, 녹도만호(鹿島萬戶)를 역임하였다.  
이 호(李 浩)
직(稷)의 8세손으로. 부장(部將)을 역임하였다.  
이 위(李 *)
복의(復義)의 아들로, 통례원인의(通禮院引儀)를 역임하였다.  
이 관(李 寬)
우봉
문정(文靖)의 후손으로,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하였다.  
이 공(李 恭)
합천
예(芮)의 후손으로, 선전관(宣傳官)을 역임하였다.  
이동수(李東秀)
응홍(應弘)의 아들로, 진도군수(珍島郡守)를 역임하였다.  
이동영(李東英)
동수(東秀)의 아우로, 만호(萬戶)를 역임하였다.  
이기융(李基隆)
연안
지화(至和)의 아들로, 충무위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역임하였다.  
이 중(李 중)
기융의 아들로, 한성판관(漢城判官)을 역임하였다.  
이 훤(李 萱)
기융의 아들로, 한성판관(漢城判官)을 역임하였다.  
이희채(李熙采)
양성
명두(命斗)의 후손으로, 승문원부정(承文院副正)을 역임하였다.  
임 홍(林 箱)
부안
춘(椿)의 후손으로, 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을 역임하였다.  
임 영(林 英)
언(彦)의 후손으로, 현감(縣監)을 역임하였다.  
임 훈(林 薰)
춘(椿)의 후손으로, 판관(判官)을 역임하였다.  
임주국(林柱國)
춘(椿)의 후손으로, 찰방(察訪)을 역임하였다.  
임재무(林再茂)
춘의 후손으로, 하동부사(河東府使)를 역임하였다.  
성 명
본관
약 사 (略 史) 거주지
임숙무(林淑茂)
부안
춘의 후손으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임방언(林邦彦)
춘의 후손으로, 첨정(僉正)을 역임하였다.  
임 경(林 경)
광비(光庇)의 후손으로, 군자감판관(軍資監判官)을 역임하였다.  
익택구(林宅垢)
춘의 후손으로, 첨추(僉樞)를 역임하였다.  
임지호(林之浩)
춘의 후손으로, 해운판관(海運判官)을 역임하였다.  
임동원(林東遠)
나주
제(悌)의 후손으로, 광양군수(光陽郡守)를 역임하였다.  
장 홍(張 洪)
인동
윤순(允淳)의 아들로, 대정현감(大靖縣監)을 역임하였다.  
장 위(張 渭)
선(璿)의 손자로.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하였다.  
장기문(張起文)
연(淵)의 아들로, 면천군수(沔川郡守)를 역임하였다.  
장우문(張宇文)
홍(洪)의 아들로, 부장(部將)을 역임하였다.  
장 근(張 根)
연(淵)의 후손으로, 부사과(副司果)를 역임하였다.  
장현윤(張顯允)
걸(杰)의 아들로, 사옹원주부(司甕院主簿)를 역임하였다  
장 권(張 權)
연(淵)의 후손으로, 사옹원주부(司甕院主簿)를 역임하였다.  
장흥문(張興文)
위(渭)의 아들로, 구례현감(求禮縣監)을 역임하였다.  
장흥일(張興一)
현윤(顯允)의 아들로, 현령(縣令)을 역임하였다.  
장기한(張起漢)
안세(安世)의 후손으로, 참판(參判)을 역임하였다.  
장 수(張 *)
흥일(興一)의 아들로, 부사직(副司直)을 역임하였다.  
장 즙(張 緝)
연(淵)의 후손으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성 명
본관
약 사 (略 史) 거주지
장한원(張漢元)
인동
찬(讚)의 아들로,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를 역임하였다.  
장의지(張彛之)
창녕
일(鎰)의 후손으로, 참의(參議)를 역임하였다.  
전경상(田景祥)
담양
봉효(奉孝)의 아들로, 병사(兵使)를 역임하였다.  
전시우(田時雨)
양덕현감(陽德縣監)을 역임하였다.  
전우기(田雨淇)
녹생(祿生)의 후손으로,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하였다.  
전광한(田光漢)
경상의 아들로,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하였다.  
전광환(田光煥)
경상의 아들로,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하였다.  
전광은(田光殷)
경상의 아들로,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하였다.  
정칠현(丁七賢)
영광
극인(克仁)의 아들로, 사옹원정(司甕院正)을 역임하였다.  
정희덕(丁希德)
칠현의 아들로, 사옹원정(司甕院正)을 역임하였다.  
정 성(丁 性)
칠현의 아들로, 사옹원정(司甕院正), 진사(進仕)를 역임하였다.  
정자연(丁自衍)
성(性)의 아들로, 부정(副正)을 역임하였다.  
정자행(丁自行)
성(性)의 아들로, 부정(副正)을 역임하였다.  
정유조(丁有祖)
자행(自行)의 아들로, 첨정(僉正)을 역임하였다.  
정형조(丁亨祖)
자행(自行)의 아들로, 가선대부(嘉善大夫)를 역임하였다.  
정귀수(丁龜壽)
유조(有祖)의 아들로, 갑산도호부사(甲山都護府使)를 역임하였다.  
정귀세(丁龜歲)
유조(有祖)의 아들로, 만호(萬戶)를 역임하였다.  
정 호(丁 浩)
귀수(龜壽)의 아들로,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하였다.  
성 명
본관
약 사 (略 史) 거주지
정 한(丁 漢)
영광
귀수의 아들로, 판관(判官)을 역임하였다.  
정 혼(丁 混)
귀세(龜歲)의 아들로, 군수(郡守)를 역임하였다.  
정몽수(丁夢壽)
철석(鐵碩)의 증손으로,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역임하였다.  
정 급(丁 汲)
준(俊)의 아들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정운열(丁運說)
식(湜)의 아들로, 판관(判官)을 역임하였다.  
정명도(丁鳴道)
명옥(明玉)의 아우로, 판관(判官)을 역임하였다.  
정명선(丁鳴善)
명도(鳴道)의 아우로, 판관(判官)을 역임하였다.  
정운창(丁運昌)
한(漢)의 아들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정명한(丁鳴漢)
명세(鳴世)의 아우로, 만호(萬戶)를 역임하였다.  
정홍익(丁弘益)
극인(克仁)의 후손으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정 근(丁 近)
명각(鳴珏)의 아들로, 현감(縣監)을 역임하였다.  
정 엽(丁 燁)
홍록(弘祿)의 아들로, 찰방(察訪)을 역임하였다.  
정희열(丁希說)
몽수(夢壽)의 아들로, 부정(副正)을 역임하였다.  
정 명(丁 明)
운희(運熙)의 아들로, 직장(直長)을 역임하였다.  
정 흘(丁 屹)
명선(明善)의 아들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정시두(丁時斗)
상준(尙俊)의 아들로,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역임하였다.  
정 돈(丁 燉)
홍립(弘立)의 아들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정 열(丁 烈)
돈(燉)의 아우로, 찰방(察訪)을 역임하였다.  
정억복(丁億福)
영광
서건(瑞建)의 아들로, 감찰(監察)을 역임하였다.  
정대영(丁大泳)
운창(運昌)의 아들로, 통정대부(通政大夫)를 역임하였다.  
정 립(丁 *)
혼(混)의 아들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정상전(丁尙傳)
응진(應軫)의 손자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정응진(丁應軫)
세청(世淸)의 아들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정 사(丁 泗)
응진(應軫)의 아들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정석일(丁錫一)
상전(尙傳)의 증손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정흥제(丁興濟)
석일(錫一)의 아들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정현묵(丁玄默)
운채(雲采)의 아들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정방희(丁邦禧)
분(芬)의 후손으로, 도사(都事)를 역임하였다.  
정두형(丁斗泂)
분(芬)의 후손으로, 선략장군(宣略將軍)을 역임하였다.  
정득의(丁得義)
지연(芝衍)의 후손으로, 판윤(判尹)을 역임하였다.  
정세웅(丁世雄)
득의(得義)의 아들로, 판윤(判尹)을 역임하였다.  
정언흥(丁彦興)
동찬(東贊)의 손자로, 찰방(察訪)을 역임하였다.  
정운형(丁運亨)
해(諧)의 후손으로, 흥양현감(興陽縣監)을 역임하였다.  
주남구(朱南駒)
신안
암희(菴喜)의 후손으로, 교수를 역임하였다.  
진후번(陳後蕃)
여양
무성(武晟)의 아들로, 연일현감(延日縣監)을 역임하였다.  
진후식(陳後寔)
후평(後平)의 아우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진상한(陳相漢)
여양
무성(武晟)의 손자로, 선전관(宣傳官)을 역임하였다.  
진필한(陳弼漢)
무성의 손자로, 부호군(副護軍)을 역임하였다.  
최 열(崔 烈)
경주
세보(世寶)의 아들로, 판관(判官)을 역임하였다.  
최 해(崔 瀣)
파(坡)의 아들로, 판관(判官)을 역임하였다.  
최익천(崔益天)
해(瀣)의 후손으로, 찰방(察訪)을 역임하였다.  
최 식(崔 寔)
전주
계웅(繼雄)의 후손으로, 호조정랑(戶曹正郞)을 역임하였다.  
최광태(崔光泰)
계웅의 후손으로, 부호군(副護軍)을 역임하였다.  
최 육(崔 堉)
계웅의 후손으로, 가의대부(嘉義大夫)를 역임하였다.  
최명주(崔命柱)
유융(維隆)의 후손으로,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를 역임하였다.  
한 응(韓 應)
청주
준(浚)의 아들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황산수(黃山守)
장수
신욱(信郁)의 아들로, 판관(判官)을 역임하였다.  
황몽신(黃夢臣)
산수(山守)의 아들로,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홍인서(洪仁瑞)
남양
중도(重度)의 아들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역임하였다.  
홍병열(洪秉烈)
채해(彩海)의 아들로, 사복시정(司僕寺正)을 역임하였다.  
홍계섭(洪啓燮)
병렬(秉烈)의 아들로, 승정원좌승지(承政院左承旨)를 역임하였다.  
홍재관(洪在寬)
계섭(啓燮)의 아들로,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를 역임하였다.  
홍종규(洪鍾圭)
재관(在寬)의 아들로, 오위장(五衛將)을 역임하였다.  
홍종문(洪鍾文)
재태(在泰)의 아들로,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