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고흥이 민간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우주발사체 산업 클러스터로 지정됐다
정부는 지난 21일 국무총리 주재 제22회 ‘국가우주위원회’를 개최해 ‘우주산업 클러스터 삼각체제’로서 전남은 발사체, 경남은 위성, 대전은 연구ㆍ인재개발 특화지구로 하는 우주산업 클러스터를 지정한 것이다.
이는 전남도가 국내 유일의 우주발사장인 나로우주센터를 보유하고 있어 우주산업 클러스터로 지정받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인 결과이며, 이는 나로우주센터 등 기존 인프라를 중심으로 조성돼 국가 우주자산 활용을 극대화하게 된다.
특히 산단 조성, 연구개발 지원 등을 통해 관련 기업을 유치하는 등 국가 우주산업 혁신 역량이 강화될 전망이다.
전남도는 앞으로 ▲우주발사체 특화 국가산업단지 조성 ▲민간발사장 확충 등 민간 우주개발 핵심인프라 구축 ▲발사체 기술사업화센터 구축 ▲우주 발사체 사이언스 컴플렉스 조성 ▲우주소재 부품 사업 다각화 지원 ▲나로우주센터 민간 개방을 통한 관광산업 활성화 등에 나설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31년까지 8개 분야 24개 핵심 과제에 1조 6천84억 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세부 사업은 2023년 정부에서 예비타당성 조사와 기본계획 수립용역 등에 반영해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별로 우주발사체 특화 국가산업단지 조성의 경우 나로우주센터 인근에 2028년까지 국비 3천800억 원을 투입해 전체 면적 약 172만 9천㎡(52만평) 규모로 조성하고, 우주발사체 조립 및 부품 제조, 전ㆍ후방 연관기업 등을 유치할 예정이다.
민간기업의 우주발사체 개발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해 2030년까지 국비 3천500억 원을 투입해 민간발사장, 연소시험장, 조립동을 구축하고, 발사체 개발 시험평가 및 인증, 전문인력 양성 등을 위해 2031년까지 총사업비 2천100억 원을 투입해 발사체 기술사업화센터와 고체전용 발사장 및 발사체 조립시설, 우주연구센터 등 고체발사체 관련 인프라도 계획이다.
우주에 대한 국민 관심도와 수용성을 높이고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사업으로 ‘우주발사체 사이언스 컴플렉스’를 조성하기 위해 2023년 기본계획 수립용역 예정이다.
지난 10월에는 고흥에서 이뤄질 ‘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이 예비 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이에 따라 2023년부터 2027년까지 4회에 걸쳐 누리호 반복발사를 하고, 이후 성능이 대폭 확장된 차세대발사체를 2023년부터 개발해 2030년부터 3회 발사할 예정이다.
차세대발사체는 지금까지 정부 주도로 개발됐던 나로호, 누리호와는 달리 사업 착수부터 체계종합기업을 선정, 민간기업이 공동 설계부터 제작, 조립, 설계, 발사 등 전 단계에 참여해 독자적 발사체 개발 능력을 갖추게 된다.
우주발사체 산업 클러스터가 조성되면 2031년까지 10개 이상 발사체 앵커기업 유치로 2조 6천660억 원의 생산유발효과, 1조 1천380억 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 2만 785명의 고용유발효과 등이 기대된다.
전남도는 경남과 연계해 남해안 남중권에 초광역 국가우주산업벨트 조성도 추진한다. 전남은 발사체 중심 클러스터 산업, 경남은 위성 중심 산업 등을 집중 육성해 국가 차원의 우주산업 발전을 견인한다는 목표다.
'우주항공수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성특화지구 경남에 발사체단조립장 구축 검토는 될 말인가? (0) | 2023.03.06 |
---|---|
고흥군, 전국유일 UAM 실증...내년 본격 추진 (0) | 2022.12.26 |
15-16일 양일간 고흥 박지성공설운동장 일원에서 제20회 전국항공우주과학경진대회 개최 (0) | 2022.10.14 |
‘우주개발진흥법 개정되어 우주발사체 산업 클러스터 탄력받을 듯 (0) | 2022.06.14 |
고흥드론센터, 내년부터 입주 군 수요창출과 중대형 드론 및 K-UAM 개발 선재적 대응 (0) | 2021.12.22 |